장소 | 시안미술관 본관 |
주최 | 시안미술관 |
주관 | 시안미술관 |
후원 | 영천시 |
작가 | 김동훈, 김정애, 노연이, 손주왕, 양은영, 이체린, 이향희, 전영경, 최은희 |
전해지지 않은 문장들: 여기에 그림자가 있다
본 전시는 2025년 영천예술창작스튜디오 입주 작가 9인이 머무는 시간 동안 마주한 동시대의 단면을 바탕으로, 각자의 창작적 시선과 감각을 통해 구조적 소외와 타자화의 문제를 탐색하고자 한다. 작가들은 개인의 서사, 비가시적 존재, 낯선 시선, 사회적 주변성 등 동시대적 문제를 각기 다른 매체로 풀어내며, 이 전시는 그 흐름을 '그림자'라는 은유를 통해 연결한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외면하거나 대상화해왔던 존재들, 사회적 기준에서 벗어난 이들을 다시 바라보는 이 전시는, 중심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중심이라는 기준은 수많은 존재들을 주변으로 밀어내고, 때때로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게 했다. 하지만 그 기준은 언제나 특정한 시선에서 출발하며, 그 시선은 결국 우리 자신에게 되돌아온다. 존재를 판단하는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우리 모두는, 언젠가 타자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참여 작가들은 보이지 않았던 것들, 낙인찍힌 것들, 경계에 위치한 것들을 작업을 통해 드러내며, 중심과 주변의 위계를 흐리고 새로운 감각의 장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우리는 이 과정을 통해 익숙한 것들의 낯선 이면을 발견하고, 무의식 중 배제해온 존재들을 다시 만나는 감각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시선의 이동은 서로 다른 존재들과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만들며, 우리가 속한 사회와 공동체를 새롭게 바라보는 계기가 된다.
“여기에 그림자가 있다”는 문장은 존재하지만 발화되지 못했던 존재의 실존을 선언하는 언어이며, “그림자가 쓴 문장”은 말해지지 않은 서사를 독해하려는 관객의 시선을 요청한다. 이 전시는 ‘주변화’을 주제로 하되 그것을 정면으로 말하지 않고, 오히려 비껴선 존재를 통해 중심의 구조를 드러내고자 한다.
장소 | 시안미술관 본관 |
주최 | 시안미술관 |
주관 | 시안미술관 |
후원 | 영천시 |
작가 | 김동훈, 김정애, 노연이, 손주왕, 양은영, 이체린, 이향희, 전영경, 최은희 |
전해지지 않은 문장들: 여기에 그림자가 있다
본 전시는 2025년 영천예술창작스튜디오 입주 작가 9인이 머무는 시간 동안 마주한 동시대의 단면을 바탕으로, 각자의 창작적 시선과 감각을 통해 구조적 소외와 타자화의 문제를 탐색하고자 한다. 작가들은 개인의 서사, 비가시적 존재, 낯선 시선, 사회적 주변성 등 동시대적 문제를 각기 다른 매체로 풀어내며, 이 전시는 그 흐름을 '그림자'라는 은유를 통해 연결한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외면하거나 대상화해왔던 존재들, 사회적 기준에서 벗어난 이들을 다시 바라보는 이 전시는, 중심이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에서 출발한다. 중심이라는 기준은 수많은 존재들을 주변으로 밀어내고, 때때로 부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게 했다. 하지만 그 기준은 언제나 특정한 시선에서 출발하며, 그 시선은 결국 우리 자신에게 되돌아온다. 존재를 판단하는 시선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우리 모두는, 언젠가 타자의 위치에 놓일 수 있다.
참여 작가들은 보이지 않았던 것들, 낙인찍힌 것들, 경계에 위치한 것들을 작업을 통해 드러내며, 중심과 주변의 위계를 흐리고 새로운 감각의 장으로 관객을 초대한다. 우리는 이 과정을 통해 익숙한 것들의 낯선 이면을 발견하고, 무의식 중 배제해온 존재들을 다시 만나는 감각을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시선의 이동은 서로 다른 존재들과의 관계를 다시 생각하게 만들며, 우리가 속한 사회와 공동체를 새롭게 바라보는 계기가 된다.
“여기에 그림자가 있다”는 문장은 존재하지만 발화되지 못했던 존재의 실존을 선언하는 언어이며, “그림자가 쓴 문장”은 말해지지 않은 서사를 독해하려는 관객의 시선을 요청한다. 이 전시는 ‘주변화’을 주제로 하되 그것을 정면으로 말하지 않고, 오히려 비껴선 존재를 통해 중심의 구조를 드러내고자 한다.